페르디난트 1세 (신성 로마 황제)

페르디난트 1세
Ferdinand I
로마인의 황제
재위 1556년 1월 16일-1564년 7월 25일
대관식 1558년 3월 14일 프랑크푸르트암마인
전임 카를 5세
후임 장남 막시밀리안 2세
로마인의 왕
재위 1531년 1월 5일-1558년 5월 3일
전임 카를 5세
후임 장남 막시밀리안 2세
헝가리 국왕
재위 1526년 12월 17일-1564년 7월 25일
전임 카를 5세
후임 장남 막시밀리안 2세
크로아티아 국왕
재위 1526년 12월 16일-1564년 7월 25일
전임 카를 5세
후임 장남 막시밀리안 2세
보헤미아 국왕
재위 1526년–1564년
전임 카를 5세
후임 장남 막시밀리안 2세
오스트리아 대공
재위 1521년–1564년
전임 카를 5세
후임 분할상속
외스터라이히: 장남 막시밀리안 2세
티롤: 차남 페르디난트 2세
슈타이어: 삼남 카를 2세
신상정보
출생일 1503년 3월 10일
출생지 카스티야 연합왕국 알칼라데에나레스
사망일 1564년 7월 25일
사망지 오스트리아 대공국
가문 합스부르크
부친 카스티야의 펠리페 1세
모친 후아나 1세
배우자 보헤미아와 헝가리의 안나
자녀 막시밀리안 2세
쿠니군데
묘소 성 비투스 대성당

페르디난트 1세(독일어: Ferdinand I, 1503년 3월 10일 ~ 1564년 7월 25일)는 신성 로마 제국황제(재위: 1556년 ~ 1564년)이다. 보헤미아의 국왕 페르디난트 1세(체코어: Ferdinand I.), 헝가리크로아티아의 국왕 페르디난드 1세(헝가리어: I. Ferdinánd, 슬로바키아어: Ferdinand I. 페르디난트 1세, 크로아티아어: Ferdinand I. 페르디난드 1세)에 해당한다.

카를 5세의 동생으로,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인 막시밀리안 1세의 손자다. 1526년 보헤미아·헝가리의 왕으로 뽑혔고, 오스만 트루크와 여러 번 싸웠으며, 제국을 통일하기 위해서 프로테스탄트들 타협하는 정책을 펼쳤다. 그는 독일 합스부르크 왕가의 시조이며, 1555년 아우크스부르크 종교 회의 성립에도 노력하였다.

생애

초기 생애

1503년 3월 10일 알칼라 데 에나레스(오늘날의 스페인 마드리드 주)에서 태어났다. 1506년 9월 24일 부르군트 공작이자 카스티야의 섭정왕이었던 아버지 펠리페 1세가 갑작스럽게 사망하였고 어머니인 후아나마저 정신 불안으로 인해 외조부이자 아라곤 국왕 페란도 2세 밑에서 자랐다. 페르난도 2세와 생일이 같은데다가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많은 귀여움을 받았다.

플랑드르에서 성장한 친형 카를과 달리 스페인에서 성장기를 보냈기 때문에 외국인과 다름없는 형을 제치고 외조부를 비롯한 스페인의 귀족들이 그를 후계자로 생각하기도 했다. 그러나 1516년 페르난도 2세가 서거하면서 1517년 9월 친형 카를이 카를로스 1세로 스페인 국왕에 즉위하게 된다. 카를 측의 견제와 압박으로 인해 1518년 여름에 플랑드로에 있는 메헬렌 궁으로 거처를 옮겼다.[1] 플랑드르는 고모 마르가레테가 통치하고 있었으며 그곳에서 생활하며 프랑스어를 익혔다.

오스트리아 통치

1520년 10월 형 카를 5세가 황제가 되자 페르디난트는 오스트리아의 통치권과 독일 그리고 뷔르템부르크 섭정직을 넘겨 받은 후 1521년 오스트리아의 비엔나로 부임하였다. 외국인 출신의 대공에 대하여 토착귀족들이 불만을 품고 비엔나 의회가 바란을 일으켰으나 1522년 7월, 이를 진압하고 숙청을 단행하였다. 페르디난트는 형 카를 5세의 대리인이자 협조자로 독일 전체를 다스렸으며 이후 30년간 형을 대신해 제국회의에 참석하기도 하였다.

헝가리 획득

1526년 오스만 투르크의 슐레이만 1세가 헝가리를 침공하였다. 헝가리와 보헤미아의 국왕이었던 처남 러요시 2세모하치 전투에서 전사하자 페르디난트 1세는 즉각 자신의 아내인 안나가 러요시 2세의 누나임을 강조하며 왕위 계승권을 주장하였고 보헤미아의 왕이 되었다. 또 페르디난트는 1527년에 세틴 성에 있는 크로아티아의 귀족들에 의해 만장일치로 크로아티아의 국왕이 되었다.

세틴 의회에서 페르디난트는 크로아티아를 오스만 제국의 침공으로부터 지키고 헝가리 왕국을 합치면서 크로아티아 인들의 역사적인 권리, 자유, 법, 풍습을 존중할 것을 약속했다. 헝가리에서 로오슈 2세의 비서인 니콜라우스 올라우스는 스스로 페르디난트 1세의 편에 가담했다. 1526년 브라티슬라바에서 페르디난트 1세는 헝가리의 왕으로 선출되었다. 하지만 페르디난트는 헝가리의 왕위를 둘러싸고 트란실바니아의 존 자포여와 대립하게 되었다.

황제 즉위

1525년 카를 5세로부터 공식적으로 독일 왕으로 지목받은 후 1531년에 선제후들에 의해 독일 왕에 선출되었다. 1550년, 카를 5세가 변심하여 자신의 장남인 펠리페 2세를 차기 황제로 내세우기 시작했다. 그러나 선제후들이 모두 이를 거부했다. 이 사건으로 인해 카를 5세는 제후들의 신뢰를 잃어 버렸고 페르디난트는 제국 지도자로서의 위상을 높이게 되었다. 1555년 아우크스부르크 화해를 주도하였고 1556년 카를 5세가 은퇴하며 황제에 즉위하였다.

자녀

  • 엘리자베트(1526~1545) 폴란드 왕비
  • 막시밀리안 2세(1527~1590) 신성 로마 제국 황제
  • 안나(1528~1590) 바이에른 공작 부인
  • 페르디난트(1529~1595) 오스트리아 대공
  • 마리아(1531~1581) 윌리히클레브스베르크 공작 부인
  • 막달레나(1532~1590)
  • 카타리나(1533~1572) 폴란드 왕비
  • 엘레오노라(1534~1594) 만투바 공작부인
  • 마르가레테(1536~1566)
  • 요한(1538~1539)
  • 바르바라(1539~1572) 페라라 공작 부인
  • 카를(1540~1590) 오스트리아 대공
  • 우르줄라(1541~1543)
  • 헬레나(1543~1574)
  • 요하나(1546~1578) 토스카나 대공비

같이 보기

각주

  1. [네이버 지식백과] 페르디난트 1세 [Ferdinand I] -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왕국’의 건설자 (독일-오스트리아 왕가, 김동원)

참고 자료

  •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페르디난트 1세


전임
러요시 2세
헝가리 국왕, 보헤미아의 국왕, 크로아티아와 슬라보니아의 왕
1526년 - 1564년
후임
막시밀리안 2세
전임
카를 5세
오스트리아 대공
1521년 - 1564년
후임
막시밀리안 2세
전임
카를 5세
독일의 국왕
1521년 - 1564년
후임
막시밀리안 2세
전임
카를 5세
신성로마황제
1558년 - 1564년
후임
막시밀리안 2세
  • v
  • t
  • e
Imperator Romanus Sacer
서로마 황제
카를 왕조
(카롤링거 제국 서로마 황제)
오토 왕조

로마 황제
잘리어 왕조
주플린부르크조
신성 황제
호엔슈타우펜 왕조
벨프 왕조
호엔슈타우펜 왕조
  • 프리드리히 2세
신성로마황제
룩셈부르크 왕조
  • 하인리히 7세
비텔스바흐 왕조
  • 루트비히 4세
룩셈부르크 왕조
독일국민의
신성로마황제
합스부르크 왕조
비텔스바흐 왕조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조
  • v
  • t
  • e
동프랑크인의 왕 (843년–918년)
독일인의 왕 (918년–962년)
로마인의 황제 (962년–1806년)
라인 동맹 보호자 (1806년–1813년)
독일 연방 의장 (1815년–1848년)
독일인의 황제 (1849년-1850년)
  •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 (제위 거부)
독일 연방 의장 (1850년–1866년)
북독일 연방 의장 (1867년–1871년)
독일 황제 (1871년–1918년)
  • v
  • t
  • e
오스트리아 대공
1세대
  • 프리드리히 5세
  • 알브레히트 6세
  • 지기스문트


2세대
  • 크리스토퍼 대공
  • 막시밀리안 1세
  • 요한 대공
  • 볼프강 대공
3세대
4세대
5세대
  • 펠리페 2세¹
  • 막시밀리안 2세
  • 페르디난트 2세
  • 페르난도 대공¹
  • 후안 대공¹
  • 요한 대공
  • 페르난도 대공¹
  • 카를 2세
6세대
  • 아스투리아스 공 돈 카를로스¹
  • 페르디난트 대공
  • 루돌프 5세
  • 에른스트 대공
  • 마티아스
  • 막시밀리안 3세
  • 알브레히트 7세
  • 벤첼 대공
  • 프리드리히 대공
  • 카를 대공
  • 아스투리아스 공 페르난도¹
  • 페르디난트 대공
  • 카를로스 로렌소 대공¹
  • 아스투리아스 공 디에고¹
  • 펠리페 3세¹
  • 페르디난트 3세
  • 카를 대공
  • 막시밀리안 에른스트 대공
  • 레오폴트 5세
  • 카를 대공
7세대
  • 카를 대공
  • 펠리페 4세¹
  • 필리프 대공
  • 요한카를 대공
  • 알브레히트 대공
  • 카를 대공¹
  • 페르디난트 4세
  • 페르난도 대공¹
  • 알폰소 마우리시오 대공
  • 레오폴트 빌헬름 대공
  • 페르디난트 카를 대공
  • 지기스문트 프란츠 대공
8세대
  • 아스투리아스 공 발타사르 카를로스¹
  • 페르디난드 4세
  • 프란치스코 페르난도 대공¹
  • 필리프 아우구스트 대공
  • 막시밀리안 토마스 대공
  • 레오폴트 6세
  • 카를 요제프 대공
  • 페르디난트 요제프 알로이스 대공
  • 아스투리아스 공 펠리페 프로스페로¹
  • 페르난도 토마스 대공¹
  • 카를로스 2세¹
9세대
10세대
  • 레오폴트 요제프 대공
  • 레오폴트 요한 대공
11세대
  • 요제프 2세²
  • 카를 루트비히 대공²
  • 레오폴트 7세²
  • 브라이스가우 공작 페르디난트²
  • 쾰른 대주교 막시밀리안 프란츠²
12세대
  • 프란츠 2세²
  • 페르디난도 3세²
  • 테셴 공작 카를²
  • 헝가리 부왕 레오폴트 대공²
  • 헝가리 부왕 요제프 대공²
  • 안톤 빅토어 대공²
  • 요한 대공²
  • 레니에르 요제프 대공²
  • 루트비히 대공²
  • 루돌프 대공²
  • 요제프 프란츠 대공³
  • 프란체스코 4세³
  • 페르디난트 카를 요제프³
  • 막시밀리안 대공³
  • 헝가리 대주교 카를³
13세대
14세대
15세대
  • 루돌프 황태자
  •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³
  • 오토 프란츠 대공
  • 페르디난트 카를 대공
  • 레오폴도 페르디난도 대공²
  • 요제프 페르디난도 대공²
  • 피터 페르디난도 대공²
  • 하인리히 페르디난도 대공²
  • 로베르토 페르디난도 대공²
  • 레오폴도 잘바토어 대공²
  • 프란츠 잘바토어²
  • 알브레히트 잘바토어 대공²
  • 레니에르 잘바토어 대공²
  • 페르디난트 잘바토어 대공²
  • 테셴 공작 알브레히트 프란츠 대공
  • 카를 알브레히트 대공
  • 레오 카를
  • 바실 비슈비아니
  • 요제프 프란츠 대공
  • 라디슬라우스 요제프 대공
  • 마티아스 대공
16세대
  • 카를 1세
  • 막시밀리안 오이겐 대공
  • 가트프리트 대공²
  • 게오르크 대공²
  • 레니에르 대공²
  • 레오폴트 마리아 대공²
  • 안톤 대공²
  • 프란츠 요제프 대공²
  • 카를 피우스 대공²
  • 프란츠 카를 대공²
  • 휴베르트 잘바토어 대공²
  • 테오도르 잘바토어 대공²
  • 클레멘스 잘바토어 대공²
  • 요세프 아라파드 대공
  • 이슈트반 대공
  • 게저 대공
  • 미카엘 콜로만 대공
17세대
  • 오토 황태자
  • 로베르트 대공³
  • 펠릭스 대공
  • 카를 루트비히 대공
  • 루돌프 대공
  • 페르디난트 카를 대공
  • 하인리히 마리아 대공
  • 레오폴도 프란츠 대공²
  • 군트람 대공²
  • 라트보트 대공²
  • 요한 대공²
  • 게오르크 대공²
  • 슈테판 대공²
  • 도미니크 대공²
  • 프리드리히 잘바토어 대공²
  • 안드레아스 잘바토어 대공²
  • 마르쿠스 대공²
  • 요한 대공²
  • 미하엘 대공²
  • 프란츠 잘바토어 대공²
  • 카를 잘바토어 대공²
  • 요제프 카를 대공
  • 안드레아스 아우구스틴스 대공
  • 니콜라스 프란츠 대공
  • 요한 제이콥 대공
  • 에두아르트 카를 대공
  • 파울 루돌프 대공
18세대
  • 카를 대공
  • 게오르크 대공
  • 로렌츠 대공³
  • 게르하르트 대공³
  • 마르틴 대공³
  • 카를 필리프 대공
  • 레이먼드 요제프 대공
  • 이슈트반 대공
  • 루돌프 대공
  • 카를 크리스티안 대공
  • 카를 피터 대공
  • 시메온 대공
  • 요하네스 대공
  • 막시밀리안 하인리히 대공
  • 필리프 요아힘 대공
  • 프란츠 카를 대공
  • 콘라드 대공
  • 시기즈먼드²
  • 게오르크 대공²
  • 군트람 대공²
  • 레오폴트 대공²
  • 알렉산더 잘바토어 대공²
  • 타디우스 잘바토어 대공²
  • 카지미르 잘바토어 대공²
  • 마티아스 대공²
  • 요하네스 대공²
  • 베른하르트 대공²
  • 베네딕트 대공
  • 요제프 알브레히트 대공
  • 파울 레오 대공
  • 프리드리히 키프리안 대공
  • 베네딕트 알렉산더 대공
  • 니콜라스 대공
  • 산티아고 대공
  • 파울 베네딕트 대공
19세대
  • 페르디난트 즈보니미르 대공
  • 카를 콘스탄틴 대공
  • 아마데오 대공³
  • 요아킴 대공³
  • 바르톨로메오스 대공³
  • 에마누엘레 대공³
  • 펠릭스 카를 대공
  • 안드레아스 프란츠 대공
  • 파울 요하네스 대공
  • 카를 크리스티안 대공
  • 요하네스 대공
  • 토마스 대공
  • 프란츠 루트비히 대공
  • 미하엘 대공
  • 요제프 대공
  • 임레 대공
  • 임레 대공
  • 크리스토프 대공
  • 알렉산더 대공
  • 로렌츠 카를 대공
  • 빌헬름 대공
  • 요하네스 대공
  • 루트비히 대공
  • 필리프 대공
  • 니콜라스 대공
  • 콘스탄틴 대공
  • 제이콥 막시밀리안 대공
  • 레오폴트 아마데오 대공²
  • 막시밀리안 대공²
  • 레오폴트 대공²
  • 콘스탄틴 잘바토어 대공²
  • 파울 잘바토어 대공²
¹스페인 왕자 겸임/ ²토스카나 공자 겸임 / ³모데나 공자 겸임
  • v
  • t
  • e
헝가리의 군주
아르파드 왕조
(대공, 850년 ~ 1000년)
아르파드 왕조
(왕, 1000년 ~ 1301년)
프르셰미슬 왕조
비텔스바흐 왕조
  • 오토 (1305–1307)
앙주 왕조
룩셈부르크 왕조
  • 지그몬드 (1387–1437)
합스부르크 왕조
야기에우워 왕조
후녀디 왕조
야기에우워 왕조
서포여이 왕조
합스부르크 왕조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조
  • v
  • t
  • e
보헤미아 군주
프르셰미슬조
(공작, 870년경-1198년)
프르셰미슬조
(국왕, 1198년-1306년)
비왕조
루쳄부르스키조
합스부르크조
비왕조
야기에우워조
합스부르크조
비왕조
합스부르크조
합스부르크로트링겐조
  • v
  • t
  • e
크로아트인의 왕
크로아티아 공작
(카롤루스의 봉신)
트르피미로비치조
스바치치조
(명목왕)
아르파도비카조
(헝가리와 동군연합)
안쥬빈스카조
(헝가리·나폴리와 동군연합)
룩셈부르슈카조
(헝가리·보헤미아와 동군연합)
  • 지그문드 1세 룩셈부르슈키
합스부르고브치조
(오스트리아·헝가리·보헤미아와 동군연합)
  • 알베르트 1세
룩셈부르슈카조
(헝가리·보헤미아와 동군연합)
  • 엘리자베타 룩셈부르슈카
야겔로비치조
(폴란드·보헤미아와 동군연합)
합스부르고브치조
(오스트리아·헝가리·보헤미아와 동군연합)
후냐디가
(보헤미아와 동군연합)
야겔로비치조
(폴란드·보헤미아와 동군연합)
자폴야조
(헝가리와 동군연합)
합스부르슈카조
(오스트리아·헝가리·보헤미아와 동군연합)
합스부르슈코로타린슈카조
(오스트리아·헝가리·보헤미아와 동군연합)
카라조르제비치조
(유고슬라비아 국왕)
사보이아오스타조
(나치 괴뢰)
  • 토미슬라브 2세
  • v
  • t
  • e
슈타이어마르크 공작
Herzog von Steiermark
오타카르조
  • 오토카어 4세
바벤베르크가
  • 레오폴트 5세
  • 레오폴트 6세
  • 프리드리히 2세
프르셰미슬조
아르파드조
합스부르크가
  • 루돌프 1세
  • 알브레히트 1세
  • 루돌프 2세
  • 루돌프 3세
  • 프리드리히 데어 쇠네 & 레오폴트 1세
  • 알브레히트 2세 & 오토 데어 프뢸리헤
  • 루돌프 4세
  • 알브레히트 3세 & 레오폴트 3세
전거 통제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국제
  • FAST
  • ISNI
  • VIAF
  • 월드캣
국가
  • 노르웨이
  • 스페인
  • 프랑스
  • BnF 데이터
  • 독일
  • 이탈리아
  • 이스라엘
  • 벨기에
    • 2
  • 미국
  • 스웨덴
  • 체코
  • 오스트레일리아
  • 크로아티아
  • 네덜란드
  • 폴란드
  • 바티칸
학술
  • CiNii
아티스트
  • RKD 아티스트
  • ULAN
인물
  • Deutsche Biographie
  • Trove
기타
  • RISM 식별자 people/332913 값은 유효하지 않습니다.
  • SNAC
  • Id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