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4년 하계 올림픽 펜싱 남자 단체 플뢰레

1904년 하계 올림픽
남자 단체 플뢰레 펜싱
1904년 하계 올림픽 남자 단체 플뢰레 펜싱
1904년 하계 올림픽 남자 단체 플뢰레 펜싱

Fencing
Foil Team Men
개최국 미국 미국
개최 도시 세인트루이스
개최 기간 1904년 9월 7일
경기장 프랜시스 체육관
참가국 2개국
참가 선수 6명
메달리스트
  혼성 (ZZX)
  미국 (USA)
 
1920 »
1904년 하계 올림픽
펜싱
개인 플뢰레 남자
단체 플뢰레 남자
개인 에페 남자
개인 사브르 남자
싱글스틱 남자

1904년 하계 올림픽 펜싱 남자 단체 플뢰레미국 세인트루이스에서 개최된 1904년 하계 올림픽 펜싱의 세부 종목이다. 9월 7일에 진행되었고, 2개국에서 6명의 선수가 참가하였다.

경기장

도시 경기장 원어명 비고
세인트루이스 워싱턴 대학교 세인트루이스
문화체육관
Washington University in St. Louis
Physical Culture Gymnasium
전 경기

경기 결과

각 팀의 선수가 다른 팀의 선수와 경기하여, 다국적혼성팀이 7번 승리하고, 미국팀이 2번 승리하여 다국적혼성팀이 우승하였다.

순위 선수
1 혼성 (ZZX)[1]
라몬 폰스트
마누엘 디아스
알베르트손 반 소 포스트[2]
1 (7) 0 (2)
2 미국 (USA)
아서 폭스
찰스 타탐[3]
찰스 타운센드
0 (2) 1 (7)

메달리스트

종목
남자 플뢰레 단체전 혼성 (ZZX)[1]
라몬 폰스트
마누엘 디아스
알베르트손 반 소 포스트[2]
미국 (USA)
아서 폭스
찰스 타탐[3]
찰스 타운센드
없음

각주

  1. IOC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쿠바 선수와 미국 선수로 구성된 올림픽 혼성팀으로 구분하였다. 알베르트손 반 소 포스트는 개인 종목에서는 쿠바 선수로, 단체 종목에서는 미국 선수로 분류하였다.
  2. 알베르트손 반 소 포스트는 미국인이지만, IOC의 메달리스트 데이터베이스에는 쿠바 선수로 분류한다.
  3. IOC의 메달리스트 데이터베이스에는 찰스 타탐을 개인 종목에서는 쿠바 선수로, 단체 종목에서는 미국인으로 분류하였다.

참고 문헌

  • 국제 올림픽 위원회 - 1904년 하계 올림픽 펜싱 경기 결과 (영어)
  • (영어) George Seymour Lyon - 1904년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 (폴란드어) Pawel, Wudarski (1999). “Wyniki Igrzysk Olimpijskich”. 2008년 10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12월 17일에 확인함. 
  • (영어) “Fencing at the 1904 St. Louis Summer Games: Men's Foil Individual”. sports-reference.com. 2011년 5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0월 14일에 확인함. 
  • (영어) De Wael, Herman. “Herman's Full Olympians: "Fencing 1904".”. 2012년 11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0월 14일에 확인함. 
  • v
  • t
  • e
  • 1904: 폰스트, 반 소 포스트, 디아스
  • 1920: A. 나디, N. 나디, 아벨라르도, 스페찰레, 테를리치, 풀리티, 콘스탄티노, 발디
  • 1924: 고댕, 카티오, 쿠트로, 뒤크레, 조비에르, 라바투, 드 로제, 페로토
  • 1928: 피뇨티, 가우디니, 페시나, 구아라냐, 풀리티, 키아바키
  • 1932: 가르데르, 봉두, 부뇰, 르무안, 카티오, 피오
  • 1936: 보키노, 디 로사, 구아라냐, 베라티, 가우디니, 마르치
  • 1948: 로멜, 도리올라, 보냉, 라타스트, 뷔앙, 부뇰
  • 1952: 도리올라, 라타스트, 뷔앙, 네터, 노엘, 로믈
  • 1956: 루카렐리, 카르파네다, 디 로사, 베르가미니, 스팔리노, 만자로티
  • 1960: 즈다노비치, 미들레르, 루도프, 시시킨, 스베시니코프
  • 1964: 즈다노비치, 샤로프, 시시킨, 스베시니코프, 미들레르
  • 1968: 르브뉘, 베로라티, 노엘, 마냥, 디몽
  • 1972: 동브로프스키, 카치마레크, 코지에요프스키, 보이다, 고델
  • 1976: 베어, 바흐, 하인, 라이헤르트, 젠스고리우스
  • 1980: 플라망, 조일로, 보셰리, 보냉, 피에트루시카
  • 1984: 누마, 보렐라, 체리오니, 스쿠리, 치프레사
  • 1988: 압치아우리, 이브라기모프, 코레츠키, 마메도프, 로만코프
  • 1992: 바그너, 슈레크, 바이트너, 코흐, 바이센보른
  • 1996: 솁첸코, 마메도프, 파블로비치
  • 2000: 페라리, 기야르, 로텔리에, 플뤼메나이
  • 2004: 카사라, 산초, 바니
  • 2012: 아스프로몬테, 아볼라, 발디니, 카사라
  • 2016: 사핀, 아흐맛후진, 체레미시노프
  • 2020: 르 페슈, 르포르, 메르틴, 포티
links=
  • v
  • t
  • 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