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KTF 프리미어리그

KT-KTF 프리미어리그(KT-KTF Premier League)는 대한민국스타크래프트리그이며, 2003년과 2004년 2시즌이 열렸다. KT와 KTF가 후원을 하였으며, 당시 스타크래프트 사상 최고의 상금을 자랑하는 유명한 대회였다.

대회는 총 두 번 개최되으며 총 15명의 KTF 매직엔스 선수가 출전 하였으나, 단 한 명도 우승을 못하였으며, 이를 '스폰서 저주'로 일컫는다.[1]

역대 KT-KTF 프리미어리그

KT-KTF 프리미어리그 2003

KT Megapass Nespot 프리미어 리그

정규리그 순위
# 선수 경기수 상금 참가자격 및 강등
1 변길섭 11 8 3 740만원 리그 결승
2 홍진호 11 8 3 740만원 리그 플레이오프
3 임요환 11 7 4 610만원
4 김정민 11 6 5 380만원 탈락
5 박상익 11 5 6 450만원
6 이재훈 11 5 6 350만원
7 박정석 11 4 7 220만원
8 장진수 11 4 7 120만원
9 송병석 11 2 9 60만원
10 장진남 11 1 10 30만원

KTF Bigi 프리미어 리그

정규리그 순위
# 선수 경기수 상금 참가자격 및 강등
1 이윤열 11 11 0 1330만원 리그 결승
2 서지훈 11 9 2 870만원 리그 플레이오프
3 조용호 11 8 3 740만원
4 박용욱 11 8 3 740만원 탈락
5 박경락 11 7 4 510만원
6 강민 11 6 5 380만원
7 전태규 11 5 6 350만원
8 성학승 11 3 8 190만원
9 박신영 11 3 8 190만원
10 도진광 11 0 11 0원

플레이오프

리그 플레이오프 리그 챔피언쉽 통합 결승전
M2 홍진호 1
M3 임요환 2 M1 변길섭 0
M3 임요환 2
M3 임요환 1
B2 서지훈 2 B1 이윤열 3
B3 조용호 0 B1 이윤열 2
M2 서지훈 0

KT-KTF 프리미어리그 2004

KT Megapass 프리미어 리그

정규리그 순위
# 선수 경기수 상금 참가자격 및 강등
1 박태민 11 8 3 640만원 리그 결승
2 홍진호 11 8 3 640만원 리그 플레이오프
3 차재욱 11 7 4 610만원 리그 준플레이오프
4 김정민 11 7 4 510만원
5 변길섭 11 5 6 450만원 탈락
6 성학승 11 5 6 250만원
7 강민 11 5 6 250만원
8 이병민 11 4 7 220만원
9 최연성 11 4 7 220만원
10 김성제 11 3 8 190만원

KTF fimm 프리미어 리그

정규리그 순위
# 선수 경기수 상금 참가자격 및 강등
1 박성준 11 8 3 840만원 리그 결승
2 조용호 11 8 3 840만원 리그 플레이오프
3 이윤열 11 7 4 610만원 리그 준플레이오프
4 박정석 11 7 4 410만원
5 한웅렬 11 5 6 450만원 탈락
6 서지훈 11 5 6 250만원
7 박용욱 11 4 7 220만원
8 임요환 11 4 7 220만원
9 박정길 11 3 8 290만원
10 김환중 11 3 8 190만원

플레이오프

  KT Megapass 준플레이오프
 차재욱 3
 김정민 1
  KTF fimm 준플레이오프
 이윤열 3
 박정석 0
  리그 플레이오프     리그 챔피언쉽     통합 결승전
                           
      M1  박태민 2  
  M2  홍진호 3     M2  홍진호 0    
  M3  차재욱 2         M1  박태민 2
      F1  박성준 3
      F1  박성준 2    
  F2  조용호 0     F3  이윤열 0   3, 4위전
  F3  이윤열 3   M2  홍진호 0
  F3  이윤열 2

주관 방송사

각주

  1. e스포츠 DB’스폰서의 저주’ - ②프리미어리그[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포모스》 2010년 1월 8일 12시 08분
  • v
  • t
  • e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리그
리그
개인전
단체전
조직
협회
게임 개발사
게임 배급사
방송국
경기장
방송인
OGN
아프리카TV
SPOTV GAMES
과거 게임단기타
1KeSPA 비공인 리그
2012년 9월 22일부로 대한민국의 모든 KeSPA 공인 스타크래프트 리그가 완전히 종료됨. 단, KeSPA 비공인 리그는 열리고 있음.